728x90
반응형
Maria db를 사용하면서 DB를 저장한다거나, 복구 하는 방법에 대한 기록이다.
간혹 서버를 사용하다가 서버를 밀어야하는 상황이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야할 때, 사용한 DB의 규모가 소규모이지만 다시 하나 하나 database와 table 생성 및 데이터들을 insert하기에는 애매한 규모일 때, 나는 이 방법을 즐겨 쓴다.
mysqldump -u계정 -p비밀번호 --all-databases > /sql/형태로/저장될/경로/파일이름.sql
위와 같은 형태로 생성이 된다. ( sql )
일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쿼리 형태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나서 생성된 .sql 쿼리 모음 back up 파일을 이용하여 다시 DB를 복원할 때는 다음과 같다.
mysql -u root -p DB이름< /경로/쿼리백업파일.sql
DB를 선택해서 복원한다. 즉, 원하는 DB는 따로 생성을 해야한다는 소리이다.
728x90
반응형
'리눅스:Ubuntu > Database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20.04에서 Sql Developer 설치 및 maria db 접속 (0) | 2020.11.22 |
---|---|
우분투 20.04에서 Maria db 설치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