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 오늘도 기록을 한다 

지난 포스팅들을 보면 select 모델들을 학습했다. 그런데 이 select 모델은 굉장한 단점들이 있다고 하더라..

단점들로 인해서 발생하는 현상부터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수가 100 을 넘기가 힘들다.

뭐 나처럼 프리 서버나 만드는 수준이라면 상관없겠지만, 그래도 100명은 너무 적지 않나 싶다. 그렇다면 왜 그런지 알아보자.

Select 모델의 단점

1. select 반환 값에 따라 행동을 할 때, 등장하는 등록된 파일 디스크립터들을 대상으로 하는 반복문

이게 첫 번째 문제이다. 아래 코드를 보면 된다.

55번 라인에서 select 함수를 호출한 뒤 반환되는 값에 따라서 변화한 파일 디스크립터의 수만큼 반복 루프를 도는 것도 아니고, 전체 등록된 파일 디스크립터의 수만큼 반복 루프 및 조건 검사를 진행한다.

이 말인 즉슨, 파일 디스크립터가 딱 하나 변한다고 하더라도 전체를 검사한다는 소리이다. -> 매우 비효율적이다.

2. Select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관찰 대상의 인자 전달.

위 그림에서 51번 라인에서 등록된 파일 디스크립터들을 최신화하고, 55번 라인에서 select 함수의 인자로 전달을 한다. 이러한 인자 전달은 select 함수 내에서만 사용되고 마는 것이 아니다. 

파일 디스크립터의 변화를 파악한다는 것은 수신 버퍼, 쓰기 버퍼 등을 확인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운영체제의 관리 대상이다. 운영체제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즉, 전달된 인자를 운영체제에게까지 전달하여 운영체제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소리인데..

응용 프로그램 단에서 운영체제에게 이렇게 많은 데이터를 전달한다는 것은 부담이 크다고 한다. 

그래서 운영체제에게 관찰 대상에 대한 정보를 초기에 한 번 알려주고, 갱신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알려주는 방식을 사용하면 되지않을까 라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 Epoll 방식이다. 윈도우에서는 IOCP 라는 개념으로 발전되었다고 한다.

다음 번 포스팅은 Epoll 이다. Epoll 모델이 기존 Select 모델에 비해 무엇이 달라졌는지 정도 확인과 작성 코드를 분석하는 시간을 갖겠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