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분투 Ubuntu 20.04.1 Version에서 Gitlab CE 를 설치를 해보았다.
우분투 Ubuntu 22.04.2 Version에서도 설치 테스트를 진행해 본 결과 유효하다.

 

1. 먼저 필수적인 의존성 라이브러리 설정 및 설치를 진행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curl openssh-server ca-certificates 

2. 메일 발송을 위한 Postfix 를 설치한다.

메일 발송을 위한 Postfix가 꼭 필요한 모양이다. 그렇기 때문에 설치를 하지만 당장은 필요하지 않다.
필요한 경우에 나중에 다시 설정을 하면 되므로 아래와 같이 선택한 후, 적절하게 입력한다. 
말이 적절이지, 특수문자를 제외하고 아무렇게나 입력해도 되는 듯 싶다. 나중에 재설정 가능하다.

sudo apt install postfix

postfix 설치 과정 중...

3. Gitlab 패키지 레퍼지토리를 추가한 후 설치한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lab 패키지 레퍼지토리를 추가한다.

curl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ce/script.deb.sh | sudo bash 

그 후 , 환경 변수 설정과 함께  gitlab-ce 를 설치한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알아서 설치를 잘 한다.

sudo EXTERNAL_URL="http://gitlab.example.com/" apt-get install gitlab-ce 


아래와 같이 나오면 설치가 완료된 모습이다.

Gitlab 설치가 성공한 모습이다.

4. 내 입맛에 맞게 IP와 PORT 를 설정한다.

먼저, IP 및 PORT의 설정은 /etc/gitlab/gitlab.rb 파일에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vim 을 통해서 변경을 하였다.sudo vim /etc/gitlab/gitlab.rb 변경해야할 항목은 다음과 같다.

  • external_url

먼저, external_url 을 설정한다. 기존에 gitlab.example.com:[port] 으로 되어 있으나, 자신의 주소와 포트에 맞게 변경한다.
[port] 부분을 각자 정의한 포트 번호로 기재하면 된다.

Text Editor는 가림용이다.

그리고 다음의 명령어로 gitlab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sudo gitlab-ctl reconfigure 

그리고 설정한 아이피와 포트로 접속했을 때 다음과 같이 뜬다면 성공한 것이다.

 

5. 처음에 "root"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 변경.

처음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할 경우 내가 생성한 계정은 당연스럽게도 pending 상태에 들어간다. 승인이 있어야 가입할 수 있다는 소리이다. Pending 상태를 풀어주려면 당연히 root 계정으로 접속을 해야한다.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알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알아낸다.

sudo cat /etc/gitlab/initial_root_password | grep Password

root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과정

이제 비밀번호도 알았으니 저 비밀번호를 복붙하여 로그인도 하고, root 비밀번호 변경과 동시에 가입한 아이디의 pending 상태 또한 풀어서 이용하면 되겠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