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다니던 회사에서는 SVN을 전통적으로(?) 사용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정말 뜻 깊은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로컬에서 한 번 깔아보려고 한다.
1. subversion 설치
sudo apt install subversion
2. 저장소 설정
SVN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변경 이력들 및 svn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소를 만들어야 한다.
나는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svn 이라는 디렉토리를 저장소로 사용할 것이다.
sudo mkdir /svn
sudo svnadmin create svnrepo
위의 명령어를 작성하면 여러 설정 파일들이 생성되는데 아래의 경로로 들어가면 svnserver.conf 파일이 존재하는데 이 파일을 통해 설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노란 색으로 칠한 부분을 주석을 해제하면 된다.
anon-access = read # 익명 엑세스의 경우 읽기까지 가능
auth-access = write # 권한있는 엑세스의 경우 쓰기까지 가능
password-db = 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 DB로 passwd 파일 사용
authz-db = authz # 사용자 계정 권한 정보 DB로 authz 파일 사용
3. 유저 설정 및 권한 설정
유저 설정
아래의 경로로 들어가면 passwd 파일이 존재하는데 이 파일을 통해 설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래와 같이 아이디 = 비밀번호 형식으로 맞춰주면 된다.
유저 권한 설정
아래의 경로로 들어가면 authz 파일이 존재하는데 이 파일을 통해 유저의 권한 설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래와 같이 아이디 = 권한(r or rw) 형식으로 맞춰주면 된다.
4. svn 서비스 실행
sudo svnserve –d –r SVN 저장소 경로
위 명령을 실행하면 SVN 서비스가 실행된다. 그리고 형상 관리할 프로젝트를 "import" 하면 svn 저장소에 이력들이 올라간다!!!
문제!!
show log 하려는데 svn "Item is not readable" 등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일종의 버그라고 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포트 변경 및 서비스 실행 / 중단을 위한 서비스 등록, 재부팅 시 자동 시작 등을 다룰 것이다.
'리눅스:Ubuntu > Git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Error 기록 (키워드 : candidates wildcard refspec ) (0) | 2023.06.23 |
---|---|
우분투 20.04 에 svn 설치 및 포트 설정, 서비스 등록 (0) | 2020.10.19 |
기존 프로젝트를 Git에 반영해보자! [명령어를 통한] (0) | 2020.09.06 |
우분투 20.04 에서 Gitlab CE 서비스 시작/중지 명령어 (0) | 2020.09.05 |
우분투 22.04 에서 Gitlab CE 설치하기 (0) | 2020.09.04 |